Bapp 구조 질문입니다 도와주세요 ㅠ

안녕하세요 공부중인 학생입니다.

궁금한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. 질문은 총 3개입니다.

이더리움 같은경우 웹에서 메타마스크를 통해 전자서명을 하고 전자 서명을 프론트엔드에서 받아 Provider(Metamask, Infura)의 노드를 통해서 transaction 을 전송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.

여기서 Klaytn 의 Android 로 Bapp 을 만들시

  1. 안드로이드 → Provider(KAS, Klip Patners, Caver) → 클레이튼 블록체인 로 진행이되나요?

  2. 만약 서버를 만들어서 Truffle을 통해 Smart Contract를 손보고 전송한다라고 가정을하면
    안드로이드->서버->Provider → 클레이튼 블록체인 으로 진행이 되는건가요?

  3. Bapp 에서 유저의 전자서명을 Wallet API로 사용한다면 이더리움의 에서 쓰는 Metamask 를 대체해 전자서명 후에 → Provider(KAS, Klip Partners, Caver) → 클레이튼 블록체인 인가요?

흐름을 못잡겠어 질문드립니다.

안녕하세요.

Provider는 클레이튼 네트워크에 참여한 EN(Endpoint Node)에 접속하여 EN에서 허용하는 JSON / RPC API를 요청 / 응답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.
또한 Provider는 서버에 구성할 수도 있지만, 클라이언트에 바로 구성을 할 수도 있습니다.

클라이언트와 클레이튼 사이에 서버를 구성할지 말지는 개발하고자 하는 BApp의 여러가지 부분이 고려되어야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.

그리고 Metamask와 비슷한 컨셉의 출시된 Kaikas라는 Wallet aplication이 있습니다.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.

2 Likes

감사합니다 공식문서도 살펴보고 답변을 들으니 더 잘 이해가 되었습니다. :slight_smile: